Author : Daeguen Lee
(Any action violating either copyright laws or CCL policy of the original source is strictly prohibited)
먼젓번에 예고한 대로, 삼성 DDR3 4GB 램을 여러 개 확보해 수율 테스트를 해보게 되었습니다.
각 주차별로 표본이 많지 않아 통계적인 대표성을 보장할 수 없는 자료이긴 합니다만...
대충 요 근래의 삼성램들 오버 수율은 이렇다! 하는 지표로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.
<참가 선수 소개>
테스트에 쓰인 램들은 아래와 같습니다.
▲ 주차마다 기판 색이 다른 게 보이시죠?
(맨 밑에 램은 왜 한칸 떨어져 있는지 의문을 가진 분이 계시다면... 잠시 후 밝혀집니다!)
오늘의 선수들을 소개합니다~
1052주차 / 1102주차 (각각 1개)
▲ 지금 현재 제 메인 컴퓨터에 달려 있던 녀석들입니다. 올해 초 구입했죠.
1124주차 (2개)
▲ 여름방학 중 구입했던 친구의 램입니다.
수율 테스트를 하는 김에 최대한 많은 대조군을 확보하고자 친구에게도 손을 벌리게 되었네요 ㅋ_ㅋ;;
1126주차 (4개)
▲ 며칠 전 동생의 새 컴을 맞춰준다는 핑계로 용산에 올라가 잔뜩 사 온 램입니다.
<준x유> 라는 업체에서 이 주차로 네개를 사고, 그만 살까 하다가 대조군을 늘리잔 생각에 두개를 더 샀으니,
1130주차 (2개; 1개는 동생 컴에 꽂아주고 옴)
▲ ...그게 바로 이 램 되겠습니다.ㅋㅋ
1130주차 둘 중 하나가 테스트에 참여하지 못한 이유는 위에 적었다시피 동생컴에 달아 주었기 때문이죠 -_-
(원래 예비 테스트 후 가장 수율이 나쁜 램을 동생컴에 끼워주고, 나머지로 본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
http://udteam.tistory.com/402 <- 이 글에 언급된 문제?!로 인해 테스트 없이 임의의 램을 꽂아 주었습니다)
하여, 원래는 총 열개의 대조군이 있어야 하나 이번 테스트는 아홉개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.
(맨 위의 사진에서 한 칸이 빈 이유도 그 때문...ㅋㅋ)
여기서 가장 수율이 나쁜 램을 추석 연휴때 집에 갖고 올라가 동생 컴에 꽂아 주고...
동생컴의 램을 다시 들고 내려와 수율을 테스트한 뒤 최종적으로 서열을 매길 생각입니다.
그럼 거두절미하고, 바로 테스트 결과로 들어갑니다.
<테스트 1: 1600MHz에서 램 타이밍 조이기>
이 테스트는 저의 투반 + MSI 890FX 보드에서 진행되었습니다.
아수스를 제외한 나머지 브랜드의 AMD 보드에서는 램 클럭 2000MHz를 먹이는 것이 불가능합니다.
(심지어 타 브랜드의 플래그십 보드조차 아수스의 880G 보드보다 램클럭이 더 안 오르는 현실...)
MSI 보드도 예외는 아니어서, 이 플랫폼에서는 클럭을 1600MHz로 맞춰 두고 램 타이밍을 조여 보았습니다.
(※ 램 타이밍 항목은 CL-tRCD-tRP의 순으로 기록되었습니다)
▲ 대부분의 램들의 경우 tRCD/tRP를 8 밑으로 내리면 포스팅조차 되지 않았는데
유일하게 1130주차의 경우 tRCD/tRP가 기본 전압에서 7이 들어가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줍니다.
(※ CL을 내리는 것보다 tRCD/tRP를 내리는 것이 훨씬 어렵습니다. 예컨대 8-10-10보다 9-9-9가 훨씬 빡셈)
▲ 1130주차는 독보적으로 6-7-7이라는 놀라운 램 타이밍을 기본 전압에서 달성했으며,
1124주차도 기본 전압에서 CL값이 다른 램보다 한단계 더 조여져 6-8-8을 달성했습니다. 나쁘지 않군요.
대부분의 램은 1.65V에서 7-8-8이 가능했고, 전압을 조금 더 올릴 경우 CL값을 한단계 더 낮출 수 있었습니다.
<테스트 2: 2000MHz에서 램 타이밍 조이기>
램 클럭이 잘 안 오르는 MSI보드에서는 더 이상 테스트해 볼 게 없어, 친구의 라노 시스템을 빌렸습니다.
테스트에 사용된 조합은 AMD A8-3850 + ASUS F1A75-V PRO입니다.
라노의 CPU 코어 자체는 기존의 데네브와 같은 K10 아키텍처를 계승했지만 메모리컨트롤러는 크게 개량되어
기존의 AMD CPU들과 달리 매우 높은 램 클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이제부터 소개할 결과를 보면 아시겠지만, 사실상 린필드 / 샌디브릿지의 램 오버 여력과 비슷한 수준입니다.
▲ 첫 탈락자가 나왔습니다. 바로 1102주차 램...
2000MHz 이상에선 어떻게 해 줘도 제대로 포스팅이 되지 않았습니다.
(램타이밍을 12-12-12 2T로 풀고 전압을 1.75V까지 줘 봐도...)
여기서도 앞의 결과와 마찬가지로, 기본 전압에서 1130주차가 독보적으로 tRCD/tRP 9를 달성했습니다.
다른 램 중에서는 유일하게 6번 램(1126주차)이 전압을 약간 올린 상태에서 tRCD/tRP 9를 달성했습니다.
그 외의 다른 램들은 tRCD/tRP 값을 10 밑으로 내리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. (~1.75V 범위에서)
탈락자를 제외하고, 모든 램의 CL값은 8까지 조여졌으며, 그 밑으로는 더 내릴 수 없었습니다.
<테스트 3: 최고 클럭 찾기: 찾은 클럭에서 최대한 램타 조이기>
이번 테스트도 라노 플랫폼에서 진행되었습니다.
CPU 및 다른 클럭은 안전한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, FSB를 올려 램 클럭을 100MHz씩 올려 가며 각각의 램이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최대 클럭을 찾아 보았습니다. (램 타이밍은 12-12-12 2T에서부터 시작)
그리고 클럭이 더 이상 오르지 않을 때, 램 타이밍을 조이기 시작해 가장 타이트한 세팅을 찾아 보았습니다.
참고로, 제가 램 타이밍을 조이는 알고리즘(?)은 아래와 같습니다.
1. 12-12-12에서 시작, 모든 항목을 하나씩 줄여 가며 테스트 (ex: 11-11-11 -> 10-10-10 -> ...)
2-a. 1번에서 막힐 경우, 전 단계에서 CL값만 한단계 줄여 테스트 (ex: 9-9-9가 막힌 경우 9-10-10 테스트)
2-b. 2-a에서 테스트를 통과한 경우, CL값만 하나씩 줄여 가며 테스트 (ex: 9-10-10 -> 8-10-10 -> ...)
3. 2번에서 막힐 경우, CL값을 그대로 두고 tRCD/tRP를 풀어 가며 테스트 (ex: 8-10-10 -> 8-11-11 -> ...)
뭐, 보통은 CL값이 tRCD/tRP보다 3 이상 차이나게 조여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
1번 <-> 2번의 과정만 반복하다 보면 가장 타이트한 세팅을 완벽히 찾을 수 있습니다.
또한 삼성램의 특성상 tRCD/tRP값을 내리기 매우 어려워, 8-10-10보다 9-9-9가 훨씬 힘든 세팅이 됩니다.
(8-10-10과 9-9-9가 동시에 들어간 램이 있다면 두 세팅을 모두 병기했겠지만, 그런 경우가 없었습니다)
▲ 노파심에서 하는 얘기지만, 9-11-11 이라든지 9-12-12 이렇게 최종적으로 세팅된 램의 경우
10-10-10 이라든지 10-11-11 / 11-11-11 이런 세팅을 안 해본게 전혀 아닙니다.ㅠㅠ
삼성램의 발목을 잡는 건 누차 얘기하지만 tRCD/tRP... CL값이 아니라구요 -_-ㅋ
여튼. 1130주차는 정말 멋진 수율을 보입니다.
▲ 기본 전압에서 2400 CL9를 달성한 것도 모자라 전압을 조금 올리니 2500MHz까지 작동이 됩니다.
그리고 여기엔 살짝 못 미치지만 1124주차 쌍둥이도 멋진 클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그 외의 다른 램들은 대개 2200~2300 정도에서 수율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데,
이 중에서도 눈여겨볼 만한 램이 있으니, 6번과 8번 (둘 다 1126주차) 되겠습니다.
비슷비슷한 클럭의 다른 램들보다 램타이밍이 눈에 띄게 더 조여지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
<결론>
지금까지의 결과를 하나의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.
▲ 테스트한 램들 중 두각을 나타내는 건 단연 1130주차 램입니다.
하필 같은 주차의 쌍둥이 램을 동생 컴에 꽂아주고 왔는데 -_-
랜덤하게 꽂아 주고 온 그 램이 하필 강력한 우승 후보라니. 아이러니하군요 ㅋㅋㅋㅋㅋ
그리고 눈여겨볼 만한 램은 1124주차 쌍둥이들(고클럭)과 6번 램 (1126주차, 낮은 램타) 정도입니다.
재미있는 점은 오버클럭이 잘 되는 1124주차와 1130주차는 모두 Made in China인 반면
별 볼일 없던 1126주차는 모두 Made in Korea였다는 점입니다 -_-a 일부러 코리아로 네개나 샀구만!!
과연 이것도 대륙의 실수인가......
암튼. 지금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ㅋㅋ
//
(아래 위젯은 티스토리의 크라우드펀딩 시스템인 '밀어주기' 위젯입니다. 100원부터 3000원까지의 범위 내에서 글쓴이에게 소액 기부가 가능합니다. 사견으로는 이러한 형태의 펀딩이야말로, 성공적으로 정착될 경우 이해관계자로부터 독립된 벤치마크가 지속가능해지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. 제가 작성한 글이 후원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기신다면 밀어주기를 통한 후원을 부탁드립니다. 물론 글을 '가치있게' 쓰는 것은 오롯이 저의 몫이며, 설령 제 글이 '후원할 만큼 가치있게' 여겨지지는 못해 결과적으로 후원을 받지 못하더라도 그것이 독자 여러분의 잘못이 아니란 건 너무 당연해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겠습니다. 저는 후원 여부와 관계없이 제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독자분께 감사합니다.)
'Re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S 윈도우 8 프리뷰 (23) | 2011.09.15 |
---|---|
삼성家의 혈투 - DDR3 4GB 오버율 테스트 (2) (5) | 2011.09.14 |
삼성家의 혈투 - DDR3 4GB 오버율 테스트 (1) (19) | 2011.09.07 |
EK 메모리 DDR3 PC3-10600 4GB x 2EA 인디핑크 간단 리뷰 (2) | 2011.01.20 |
지스킬 PIS DDR3 PC3-19200 CL9 2GB x 2EA 간단 리뷰 : (2) 오버클럭 (1) | 2010.10.17 |
지스킬 PIS DDR3 PC3-19200 CL9 2GB x 2EA 간단 리뷰 : (1) 외형 (0) | 2010.10.16 |

세레니떼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으익.. 1102주차는 역시 버림받은 주차였군요..
저도 같은 CH0-CH9 1102 China(@1866) 를 사용하고 있는데 2133까지 먹이기가 참 힘들더라구요... ㅠ
저도 동생한테 몰아주고 확 최근주차나 도미로 갈까 고민중입니다 ㅋㅋ
ps. 대근님 글보고 설래여서 1866(@1.65V)에서 램타가 혹여나 더 줄여질까 해서 9-10-10-24 먹이고 부팅안되서 시모스클리어 했어요!!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저랑 비슷한 시기에 사셨던 모양이군요.ㅎㅎ 2133이 들어가긴 하던가요?
전 예전에 크로스헤어 보드에서 1052주차+1102주차로 2000 CL8이 들어가긴 했었는데 이번에 다른 플랫폼에서 테스트해보니 2000도 안 들어가더군요. 이 무슨 조화..ㅋㅋ
※ 예전 테스트 당시 글:
- http://www.playwares.com/xe/16971531 (요건 구입 직후 2000 CL9로 돌려보던 것)
- http://www.playwares.com/xe/16972588 (위 세팅으로 프라임을 좀 돌리다 CL8로 내림)
Reply: 세레니떼 주소 수정/삭제 댓글
네 샌디라 1866다음이 바로 2133이어서 2133로 시도했었...습니다만 블스 안뜨고 부팅은 가능하나 에베레스트 레이턴시나 속도, 링스gflops값에서 현저히 1866보다 뒤쳐지는 현상과 안정화 테스트 겸 링스갈구기에서도 5인가 6에서 에러를 뿜더라구요
그래서 덜컥 겁이나서 지금의 세팅으로 사용중입니다ㅜ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하아... 그랬군요.ㅋㅋ
1866에 놓고 BCLK를 106~107 정도로 높여 주셔서 2000을 달성하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.ㅎㅎ
독학맨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음..
그렇군..
음.. 잉?.. ?Made china ...
반전드라마..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ㅋㅋ 메이드 인 차이나 짱!!
예전 청나라 - 조선 관계도 아니고... -_-;;;
메멘토군 주소 수정/삭제 댓글
대륙의 실수...라기엔 요즘 대륙이 너무 잘나가요...허허;
근데 이 포스팅 보면서...결과보다는 테스트하는데 걸린 시간이 눈에 보이네요.
수고하셨습니다. (__)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어이쿠 ㅋㅋ 생각보다 그리 많이 걸리진 않았습니다 :-D
그래도 벤치 뒤에 숨겨진 테스터의 노고를 생각해 주시니 감사할 따름...ㅠㅠ
딜레마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실험 너무너무 수고하셨습니다.
2400클럭도 들어간다니 놀라운 삼성램이군요.
역시 30나노냐 40나노냐.. 차이나냐... 코리아냐... 따질 이유가 전혀 없는것 같습니다 ㅎㅎ
역시 뽑기운인것 같습니다ㅎ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ㅋㅋ 사실 저 테스트에서 2200MHz 들어갔다고 뿔닥 취급을 하긴 했는데...
이미 2200이란 숫자부터가 장난이 아닌거죠 ㅋㅋ
K.S.J 주소 수정/삭제 댓글
... 오버용 램 저리가라네요;; 대단하군요, 삼성... UFO라도 주운걸까요?ㅋ
어쨌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~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요즘은 정말 아무렇게나 주워 와도 쓰고자 하는 클럭은 거진 다 넣을 수 있을것 같아요 ㅎㅎ
니드뽀폴쉐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수율이 정말 좋네요.
전 램오버는 너무 귀찮아서 두어번 하고나면 못하겠던데 대단하십니다.@.@
사족.과거(?)에 비해 최신(제가 쓰는 07년 제품) 보드가 포스팅 시간이 더 길어진 것 같아 더 엄두가 안나더라구요. ^^;;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으음... 근래에 07년보다 이전에 나온 보드를 써본 적이 없어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^^;
처음 손대려면 귀찮지만 막상 이것저것 올리고 조이다 보면 램오버만큼 재밌는 것도 없습니다.ㅋㅋ
지민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저는 1130주차 코리아 2개 있는데.....
좋은걸까요? 나쁜걸까요? 오버를 않고 사용중이라 상관없지만..ㅋㅋㅋ
좋은정보 감사합니다....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제껀 메이드 인 차이나였는데 한국제는 또 어떨지 모르겠네요 ㅋㅋ 한국, 중국 외에 다른 곳도 있나?
드리머 주소 수정/삭제 댓글
램수율 테스트시 어떤 테스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셧나요?
cmwoo7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저같은 경우도 차이나가 코리아보다 월등하고 코리아는 품질, 성능, 불량율, 오버율 면에서 모두다 떨어지더라구요
제 11년도 차이나 1333 4GX2로 테스트해 본 결과 1.6v 10-11-11-25로 2133까지 오버되더군요
지나가는 행인 주소 수정/삭제 댓글
근대 사실 중국산이 더 좋은 이유는 삼성이 중국에 공장을 더 많이 만들고 그곳에 기술을 만들어 쓴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