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uthor : Daeguen Lee
모든 언어간 관계에서 공통적으로, 한 언어의 단어가 뜻하는 바와 100% 일치하는 동의어를 다른 언어 내에서 찾기란 쉽지 않다. 과감히 불가능하다고 단언해도 이를 틀리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. 대체로 하나의 시그니파이어에 이어진 시그니파이드가 명료하게 분절되는 개념이라기보다는 (예 : 사과 - apple) 개념 그 자체를 추상하는 '개념들의 합집합' 인 경우가 많은데 서로 전혀 다른 기원을 갖는 이 집합들이 각자가 속한 언어의 진화과정 내에서 우연히 결과적으로 동치이게끔 발달해 왔을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. 이는 '인간' 이라는 우리말 단어가 그 자신이 속한 글의 맥락에 따라 영문의 man으로 옮겨지기도 하며 human이 되기도, mankind나 human-being이 되거나 때로는 homo라는 속명으로 쓰여지기도 하는 것을 보면 분명해진다. 품사가 명사일 때는 그나마 간단한 축에 속한다.
한편 완전한 동의어가 아님에도 통번역상 자연스레 동치로 간주되는 단어쌍도 있다. 개념 - concept이 대표적이다. ("개념"이란 말이 자주 나오니 좀 정신사납다.) 대개 문헌을 번역함에 있어 개념이란 단어를 마주했을 때 이를 concept으로 옮기는 것이나 그 역의 경우 십중팔구는 올바른 번역례가 된다. 하지만 때로 어떤 음식점을 설명할 때 '그 음식점은 concept이 없어' 라고 전하는 것과 '개념이 없어' 라고 하는 것의 뉘앙스는 전혀 딴판이기도 하다. 재미있는 것은 concept의 음독(을 다시 받아쓴) '컨셉'은 개념, concept 둘 어느 쪽과도 중첩되지 않는 독자적인 심상을 대표하고 있다는 점이다. 이때 '컨셉' 은 concept의 우리말 음차를 넘어서 일정 부분 우리말 단어로써 하나의 시그니파이어 직무를 대행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. 비슷한 예로는 사실 - fact와 최근 부쩍 널리 쓰이게 된 '팩트'의 관계를 들 수 있을 것이다. 오늘날 팩트란 더 이상 '사실'의 동의어가 아닌, 거기서 한겹 더 벗겨낸 무언가를 시그니파이드로 삼는 우리말로써의 고유한 시그니파이어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.
이 지점에서 우리 일상 속에 스며든 외래어/외국어의 상당수가 실은 외래어/외국어로써가 아니라, 비록 그것들과 발음이 같을지언정, 우리말의 일부로써 우리말 내에 있는 수많은 어휘들(이 대표하는 시그니파이드들)의 여집합을 채우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. 여기서 우리말 어휘의 여집합이란 그것(=공백)이 실재하는 것일 수도 있고, 화자 개인의 어휘지식의 부족에 기인하여 실재하는 어휘로 이미 충분히 포괄할 수 있는 것을 우리말화된 외래어나 외국어로 치환해버리는 것일 수 있지만 어느 쪽이건 그 기능의 본질은 우리말의 파괴보다는 오히려 우리말을 더 촘촘하고 풍성하게 하는 데 있다. 물론 이 과정에서 이미 실존하는, 그러나 널리 알려지지 않은 우리말 어휘가 우리말화된 외래어/외국어에 밀려 EBS e-지식채널의 소재쯤으로 전락할 (부제 : 우리의 잊혀진 단어들) 가능성 역시 상존한다. 어쨌든 이런 형태의 언어생활(진화라고 해야 할까?)은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추세가 되어버렸고, 우리들은 우리말의 커버리지를 넓히는 데 모두 조금씩이나마 일조하고 있는 것이다.
'Philosopher D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대사의 축소판 (1) | 2015.01.16 |
---|---|
헌재의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선고에 즈음하여 (0) | 2014.12.18 |
우리말의 진화 (4) | 2014.08.22 |
경영자의 정당, 정당의 경영자 (4) | 2014.07.26 |
문창극 사태에 관한 단상 (0) | 2014.06.24 |
교육감 직선제에 관해 : 최선인가? (2) | 2014.06.10 |

임주혁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칼럼 잘 읽었습니다. 다른 언어의 단어를 차용해 오는걸 부정적으로 봤는데 이렇게 생각할수도 있겠네요. 다만 공백을 메꿔주는(대체불가한) 역할로만 사용해야 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봅니다.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! 사실 마지막에 가서 어떤 말을 하고싶었던 건지 흐려진 측면이 있는데... 언어의 진화에 순응하자 vs 지킬 건 지켜야 한다 사이에서 갈피를 못 잡겠습니다.ㅋㅋ 결국은 균형이 중요하단 새삼스런 결론...
정우철 주소 수정/삭제 댓글
근친혼으로 이어진 혈통마냥 단어 로스터가 정순한 언어는 아마 안다만제도같은 극단적인 폐쇄지역의 말 외에 없을 것입니다
다양한 계통이 섞이고 덮이고 어우러지는 역사가 있어온 땅과 나라의 언어일수록 재료가 다종다양하겠지요
세계 전체에 영향력을 끼치면서 또한 전 세계의 유력한 모든 언어로부터의 영향을 포용하는 영어가 반대쪽의 극단이겠네요
그리고 제 감상으로, 영향받을 인근의 다른 말글이 적은 편이긴 하지만, 대신 한국어는 중국어와 한자의 영향력에 쩔어있다고 표현해도 좋을 정도로 노출되어 왔습니다
그 역사를 생각해보면 외려 우리 느끼기에 누더기같기도 한 한국어가 사실은 고유함을 유지하는 스태미너가 유난히 강한 것일수도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
광복이후 미국체제에 편입된 후 영어에 대한 불쾌한 경도현상이 심화되는 중이기도 하지만, 본 글의 말씀대로 그건 오염보다는 진화에 해당할 것입니다
그리고 까짓거 오염이라고 해도 뭐 별로 다를건....
Reply: Mola Mola 주소 수정/삭제 댓글
오! 이 카테고리에도 댓글이 달리다니 신기하네요 ㅋㅋ (...라고 써놓고보니 바로 위에도 댓글이 있었...)
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